연혁

연구 연구 추진 현황 (2014~현재)

임상병리교육평가원 설립부터 시범평가까지

  • 2023

    1. · 인증기준 준거에 대한 적정성 확보
    2. · 교육부 인증을 위한 기반 구축
    3. · 인증기준 근거에 따른 평가 편람 작성
    4. · 2023학년도 시범평가
  • 2022

    1. · 임상병리교육평가원 인증기준 근거 기반 확보
    2. · 교육기관 현황 조사항목에 대한 가이드라인 작성
    3. · 대학 여건 파악 및 교육의 질 향상 계획 수립
    4. · 임상병리학과 유사 관련 기관 학과별 현황 조사
    5. · 3개 대학 대상으로 시범 평가 진행을 통한 각 영역별 고도화 연구
  • 2021

    1. · 시범평가(대전대학교, 대전보건대학교) 자체평가(서면) 보고서 지필
    2. · 평가 영역 세분화로 인한 평가점수와 등간 조정(정량적 지표)
    3. · 평가위원 인력 풀 양성 및 대학 시범 평가〮인증 준비 지원
    4. · 임상병리교육평가원 운영체계 구축 및 운영규정을 포함한 세칙 제정
    5. · 전국 54개 대학 임상병리학과 교육기관 현황 조사
    6. · 한국임상병리교육평가원 개원(2021. 6. 19)
  • 2020

    1. · 인증기준 및 지침, 핵심역량술기 고도화
    2. · 임상병리학과 기자재 평가
    3. · 임상병리학과 공통교육과정 도출을 위한 기반 구축
    4. · 자체평가위원 교육자료 작성
    5. · 운영규정 및 운영세칙 개발
    6. · 상기 인증기준을 통한 예비평가 계획 (2021.01~02)
  • 2019

    1. · 인증제도 개발
    2. · 인증기준 개발 및 지침서 개발
    3. · 평가위원 인력풀 양성을 위한 교육자료 개발
    4. · 임상병리교육평가원 조직구성
    5. · 임상병리교육평가원 운영규정 제정
    6. · 대학평가 인증준비 지원
  • 2016

    1. · 평가방법 연구를 통한 평가방안 1차 공청회
    2. · 각 대학별 의견 Feedback을 통한 편람 및 평가 툴 연구
    3. · 연구위원회 총괄 토론회
    4. · 연구수정안 2차 공청회
    5. · 연구보고서 발간 (평가편람)/ 심층연구 자료 활용
  • 2014

    1. · 임상병리사 교육평가원 설립의 필요성 대두
    2. · 교육평가원 평가방법 연구 필요
    3. · 교육평가를 위한 위원회 구성 및 역할 분담
    4. · 교육평가 방법기초자료 조사
    5. · 평가 편람 연구 및 평가 Tool 개발